90%가 하류로 전락한다 - 후지이 겐키

2023년 03월 02일 by 한숨은 이제 그만
반응형

90프로가 하류로 전락한다


최근에는
 소득격차가  남녀가 결혼에 골인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한다. 결혼하는 것은 소득이 비슷한 남녀끼리이며, 그것도 고소득자끼리만 결혼에 성공한다고 한다.

일본은 빈곤율(국민 평균 가처분 소득의 50% 이하소득자를 분석한 수치) 소득격차(지니계수, 빈부 격차와 계층  소득 분포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모두가 왜 높을까.

  1. 정부의 사회 보장 급부와 세금에 의한 소득의 재분배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낮다.
  2. 일본의 파트타임 근로자들의 소득이 너무 낮다.

저자가 제시한 일본의 계층 분류

  1. 상류 : 부자, 일하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는 자본가, 자산가, 지주등
  2. 중류 : 일반 서민 (샐러리맨, 재산은 적지만 노동을 통해 먹고살 수 있는 사람)
  3. 하류 : 빈자 (일해도 퐁요롭게 되지 못하는 사람, 복지 정책에 의존해 생활하는 사람)

영국의 계층 분류

  1. Upper class :  2~3%, 귀족, 왕실, Gentry
  2. Middle class : 10~15%, 전문직 화이트 칼라나 산업혁명 이후 대두한 자본가, 은행가
  3. Lower class : 주급 생활자, 블루칼라, Manual labor.

나의 생각, 한국의 계층 분류

  1. 상류 :  대규모 임대 사업자, 중류를 고용한 대규모 사업자, 자본가, 지주
  2. 중류 : 일반 서민 (샐러리맨, 대부분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며 샐러리맨 또는 소규모 영세 사업자)
  3. 하류 : 비정규직, 시급 소득자, 농민

하류로 떨어지지 않기 위해 해야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1. 하류의식을 갖지 않는 것, 계급의식에서 벗어나는 것.
  2. 하류로 사는 게 어떻게 사는 것인지 제대로 아는 것.  이를 통해 안도감을 얻고 그들과 다르게 살 수 있다.

본인은 과연 어떤 계층인가? 계급을 언급했을  당황하는 정도로   있다.

  1. 중류 : 침착함을 잃는다. 급진적 계급 하락을 두려워하고 항상 긴장한다.
  2. 상류 : 짜증 내지 않는다.
  3. 하류 : 이런 화제 자체에 신경 쓰지 않는다

하류 의식

  1. 자신다움을 중시한다.
  2. 개성을 중시하는 가족을 추구
  3. 낮은 계층의 젊은이일수록 자기 능력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다.
  4. 개성을 중시하는 사람은 계급의식과 생활만족도가 모두 낮다.
  5. PC, Play station, Phone, PET병, Potato 칩 과자를 좋아한다.
  6. 취미가 인터넷일 가능성이 크다.
  7. 외식, 음식기행에 집착 (상류는 요리를 좋아함)
  8. 쇼핑을 좋아한다.
  9. 브랜드나 메이커에 집착
  10. 개성 있는 패션을 고집
  11. 혼자일 때 행복하다.
  12. 상류는 공부보다 인간성 교육을 중시하는 “여유 교육” (전인교육?)을 혐오한다.

 생각, 일본이나 한국에서  매출을 올리는 LVJ그룹 (루이뷔통등의 명품이라 불리는 브랜드를 거느린 다국적 기업) 광고이미지를 중류, 하류가 갈구하는 상류 생활을 암시하는 전략을 쓴다.

저자, 후지이 겐키는 학력에 따라 계층이 결정되고 미국의 IVY league 대학 같은 세계적으로 실력 있는 대학을 양성하는 것만이 일본이  길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하야시 신고라는 사람이 지적한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다.

샐러리맨의 소득 격차는 분명 확대되고 있다. 이런 소득 격차를 세대를 넘어 고정시키려는 것이 교육 격차이다. 앞으로 일본 기업 요구하는 인재는

  1. 경제의 글로벌화에 대응할 수 있는 소수 엘리트
  2. 전문적인 능력이 있는 스페셜리스트
  3. 저임금으로 고용할 수 있는 다수의 노동자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공립학교의 여유 교육 살펴보면, 국가가 그런 기업들의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다수의 활기 넘치는 바보 만들려는 것으로 밖에는 생각되지 않는다.”

. 생각, 실력 위주, 학력 위주의 사회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저자는 국립대학의 수업료를 절반으로 줄이고 미국 수준의 장학금 제도를 마련하고 무능력한 교수와 교사의 해고를 주장한다. 막무가내식으로 대학의 순위를 정하고 주입암기 위주의 시험으로 평가하는 교육 시스템을 주장하는  같지는 않다.

엄청난 자산가들이 가장 멍청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구상에서  나라에서만 사는 것이다. 이들은 영원한 여행가 방식의 생활을 추구한다.

예를 들어 삶을 5개국으로 나눠 보내는 방법이 있다. 국적을 갖는 나라, 사업을 하는 나라, 실제로 생활하는 나라, 자산을 운용하는 나라, 휴가를 보내는 나라.

하류는 영원히 자기 자신만이 갖고 있는 가치를 찾아내려 한다. 더불어 항상 타인을 흉내 내려 한다. 일이  풀리는 사람, 성공한 사람, 주목받는 사람을사람을 모방하려 한다. 재테크 서적을 좋아하는 하류들.

하류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해야  (권고하는) 10가지.

  1. 해외 명문 대학에 유학
  2. 공무원은 되지 마라
  3. 직장은 세계를 상대로 기업활동을 하는 곳을 선택
  4. 최소한 영어 회화, 영어 이외의 외국어 한 개정도 가능
  5. 전문직 선택, 샐러리맨이 아니라 비즈니스맨이 돼라
  6. 컴퓨터 지식과 기술을 익혀라
  7. 해외뉴스를 주목하라
  8. 금융, 경제 지식을 익혀라
  9. 온리 원 따위의 가치관을 버려라
  10. 애국심을 가져라.
반응형

댓글